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공장 멈추고 투자 뒷걸음질…작년 제조업 가동률 외환위기 수준(종합2보)

송고시간2017-02-01 10:39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12월 산업생산은 제자리…소비도 2개월 연속 감소

모바일 게임 '리니지2: 레볼루션' 서비스업 생산 이끌어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이대희 김수현 기자 = 지난해 12월 전체 산업생산이 제자리걸음하고 소비는 2개월 연속 뒷걸음질 쳤다.

광공업 생산은 한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다시 뒷걸음질 쳤다.

연간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5년 내리 감소하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16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체 산업생산은 지난해 9월 0.9%, 10월 0.4% 뒷걸음질 치다가 11월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지만 12월에 증가세를 이어가지는 못했다.

광공업은 석유정제, 반도체 등에서 증가했지만, 전자부품, 금속가공 등이 줄어 전달보다 0.5%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0.8%포인트 하락한 73.0%를 기록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달보다 0.4%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 등이 감소했지만,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 등이 늘어 0.3% 증가했다.

특히 작년 12월 14일 발매된 모바일 게임 '리니지2: 레볼루션'은 첫 한 달 매출이 2천억원을 넘어서면서 정보서비스업 생산 증가를 이끌었다.

다만 숙박·음식점은 0.5%(전년동월대비 3.6%) 감소했다. 이는 불황과 함께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가 증가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 판매가 줄어 전달보다 1.2%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11월(-0.1%)에 이어 두 달 연속 '마이너스'였다.

지난해 12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겨울 의류가 잘 팔리지 않았고 유가 상승에 따라 연료 소매판매도 줄어든 탓이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 투자가 늘어 3.4%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의 실적 호조로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비를 늘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공장 멈추고 투자 뒷걸음질…작년 제조업 가동률 외환위기 수준(종합2보) - 2

이미 이뤄진 공사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건축, 토목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1.8% 감소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서비스업 생산지수가 감소했지만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등이 증가해 0.2포인트 상승했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소비자기대지수, 수출입물가비율 등이 감소했지만 장단기금리 차 등이 증가해 0.1포인트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광공업은 마이너스로 전환됐지만 서비스업 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과 동일한 수준 유지했다"라며 "광공업 감소는 전월이 높았던 데 따른 반락의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은 서비스업·건설업 등에서 늘어나 전년보다 3.1% 증가했다.

이는 2011년 3.3% 증가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4%로 전년보다 1.9%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2011년 80.5% 이후 내리막길을 걸으며 1998년 67.6%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어 과장은 "지난해 갤럭시노트7 사태가 있었고 광공업이 호조를 보이는 수준은 아니어서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감소했다"며 "기업들이 생산을 늘리기보다 재고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광공업 생산은 2015년 -0.6%에서 지난해 1.0%로 플러스로 전환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3.0% 늘어 2011년(3.2%)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비내구재, 내구재, 준내구재 소비가 늘어 4.1% 증가, 역시 2011년 4.5%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비내구재의 경우 1인·노인가구가 늘어나면서 가정내 음식 소비가 늘고 외식이 줄어든 영향으로 음식료품에서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

설비투자는 1.3% 감소하며 2013년(-0.8%)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건설기성은 17.5% 증가했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수출 회복세는 긍정적이지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이나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대외 리스크가 확대되고 소비심리 위축, 유가 등 생활물가 상승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며 "1분기 재정 조기 집행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수출회복 모멘텀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porqu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