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지난해 한국 자동차 생산 346만대…세계 5위 유지

송고시간2022-02-28 08:56

beta
세 줄 요약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대수가 전년보다 소폭 줄어든 346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28일 발표한 '2021년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 현황'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020년보다 1.3% 감소한 346만2천299대였다.

국가별 순위를 보면 한국은 2020년과 같은 5위를 유지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자동차산업협회 조사…1∼4위는 중국·미국·일본·인도

"전기차 생산 지원 강화·핵심 원자재 안정적 확보책 필요"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대수가 전년보다 소폭 줄어든 346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28일 발표한 '2021년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 현황'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020년보다 1.3% 감소한 346만2천299대였다.

국가별 순위를 보면 한국은 2020년과 같은 5위를 유지했다. KAMA는 우리나라의 세계 5위 유지에 대해 "글로벌 반도체 대란 등 연속된 악재 속에서도 재고관리와 적극적 반도체 확보 노력 전개 등으로 감소 폭을 최소화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1위는 2천608만2천대를 생산한 중국이었고, 이어 미국(915만4천354대), 일본(784만6천253대), 인도(439만6천84대) 등의 순이었다.

1∼3위는 변동이 없으나 2020년 6위였던 인도가 29.6%의 생산량 증가세를 보이면서 4위로 뛰어올랐고, 4위였던 독일은 생산량이 8.8% 줄면서 6위(342만7천752대)로 내려갔다.

7∼10위는 멕시코(312만7천311대), 브라질(224만8천253대), 스페인(209만8천133대), 태국(168만5천705대) 등이었다.

세계 전체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보다 2.0% 증가에 그친 7천978만대였다.

KAMA는 "잦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 차질 발생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에 따른 재유행 등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우 3년 연속 역성장을 마무리하고 내수 증대와 수출 급성장에 힘입어 생산량이 3.4% 증가하면서 13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고 미국도 3.8% 늘어나며 2위를 유지했다.

일본은 3월 르네사스 공장 화재, 델타 변이 확산 등으로 2.7% 줄어든 785만대 생산에 그쳤고, 인도는 지난해 내수가 코로나 이전 수준에 가깝게 회복하면서 6위에서 4위로 뛰어올랐다.

독일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이후 반도체 위기 심화 탓에 197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지난해 자동차 생산의 전반적 특징에 관해 KAMA는 일본, 한국, 독일, 멕시코, 스페인 등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반도체 부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침체 반복과 해운·항만 병목현상 등으로 수출 회복이 제한돼 생산 감소가 지속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진단했다.

KAMA는 또 중국의 경우 과잉 공급 해소를 위해 수출에 노력한 결과 작년 수출이 100% 이상 급성장하면서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중국, 스페인 등은 정부 개입과 지원으로 전기동력차 생산을 확대함에 따라 전기차 비중이 높아지는 특징(중국 13.6%, 스페인 9.3%)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만기 KAMA 회장은 "광활한 내수 시장을 가진 미국, 중국 등은 규제와 보조금만으로도 전기차 생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나 내수가 취약한 우리로서는 한국GM, 르노삼성 등 다국적 기업들에 대한 투자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회장은 또 전기차 생산 측면에서의 정책 지원 강화, 연구개발 세액공제 등 세제 지원 제고, 노동·경영환경 개선으로 국내 투자 활성화를 통한 생산 기반 유지와 리튬·코발트·니켈 등 전기차 핵심 원자재 및 소재의 안정적 확보책 마련 등을 주문했다.

min22@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