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하단 메뉴 바로가기

[뉴스피처] "부동산 추가 대책입니다" 가짜뉴스로 몸살 앓는 지구촌

2020-01-28 08: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최근 각종 커뮤니티와 SNS에는 정부가 부동산 추가 대책을 내놓는다는 가짜 정보가 퍼졌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13일 '분양가상한제 개선방안' 보도자료를 내고 백브리핑을 한다는 내용이었죠. 이 정보는 국토부가 출입기자단에 전달하는 공지 형식을 띠었는데요. 구체적인 대책까지 담겨있어 '진짜'로 착각하기 충분했죠.

그러자 국토부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국토부를 사칭한 가짜뉴스 유포에 수사 의뢰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리스 영화 거장 코스타 가브라스는 지난해 SNS에 올라온 가짜 뉴스로 인해 자신의 부고를 접했습니다.

이탈리아 한 기자가 소셜 네트워크 취약성을 보여주려고 그리스 장관을 사칭한 계정을 만들어 가짜 정보를 퍼뜨린 거죠. 일부 외신은 이를 인용해 보도했다가 기사 전문을 취소하는 소동도 벌였습니다. 언론도 깜빡 속아 넘어간 겁니다.

"세계 어디에나 오늘과 같은 가짜뉴스가 존재하고, 이는 즉각적으로 진실이 돼버립니다."(코스타 가브라스 감독)

온라인으로 연결된 지구촌이 가짜뉴스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가짜뉴스는 유튜브와 SNS 등 뉴미디어 플랫폼을 온상으로 삽시간에 확산하죠.

정의 또한 모호합니다. 언론 보도 형태로 유포되는 거짓 뉴스부터 특정 의도를 갖고 소셜 미디어에 전파하는 루머까지 광범위하게 통칭되죠.

국내외 학계에선 가짜뉴스(Fake news) 대신, 허위조작정보(Disinformation)란 용어로 써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특히 가짜뉴스를 생산하는 방식은 인공지능(AI) 기술까지 접목돼 한층 교묘해졌는데요.

2018년 미국에선 오바마 전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은 완전히 머저리"라고 조롱하는 조작 영상이 퍼졌습니다.

이는 미국 한 온라인 매체가 딥페이크(AI 이용한 영상 합성·조작 기술) 영상이 정치에 악용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주고자 공개한 '가짜'였습니다.

이처럼 정교해진 가짜뉴스는 강력한 파괴력이 있는데요. 여론을 왜곡해 선거판을 뒤흔들기도 하고, 정치·사회적인 갈등을 조장하거나, 경제 시장도 교란합니다.

실제 2016년 미국 대선 당시 러시아 요원들이 SNS에 가짜 정보를 유포해 선거에 개입하려 한 의혹이 논란이 됐죠.

2017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주지사 선거 때는 가짜뉴스 전문 생산업자들이 가담해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4.15 총선을 앞둔 우리도 가짜뉴스가 공정 선거를 흐릴까 우려가 나옵니다.

이재국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가짜뉴스, 허위조작 정보에 대한 심각성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선거 또는 전반적인 정치 과정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고, 기반 자체를 훼손하거나 공격하는 경향을 띠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에선 정부의 막강한 권한으로 가짜뉴스를 처벌하는 법을 시행해 표현과 언론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우리 국회에서도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여야가 가짜뉴스 규제를 놓고 공방을 벌였는데요. 문재인 대통령도 이달 부처별 업무 보고에서 정보화 역작용 중 하나인 가짜뉴스 유통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 뉴스리포트 2019'에 따르면 한국은 가짜뉴스를 우려하는 응답자 비율이 59%로 높은 편임에도, 38개국 중 19위로 중간 순위였습니다.

유튜브와 SNS 등 플랫폼 다양화 시대, 넘쳐나는 뉴스와 정보.

소셜 미디어들이 가짜 계정 단속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가짜뉴스로 촉발된 파장은 어느새 지구촌 공통의 사회 문제가 됐습니다.

mimi@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