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하단 메뉴 바로가기

[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바이든, '美코로나 사망 50만명' 조기게양 지시 外

2021-02-23 09:39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코로나19 사망자가 50만명을 넘어서자, 모든 연방기관에 조기를 게양하도록 지시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희생자 추모 행사에 참석해, 공중보건 지침 준수와 백신 접종을 강조했습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코로나19'를 국정 최우선 과제로 삼았는데요.

취임 한 달여만에 '미국 내 사망자 50만명'이라는 기록과 마주했습니다.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았다면서요.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숨진 50만명을 기리기 위해 기념식에 참석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추모의 촛불을 밝히고 모든 국민에게 함께 묵념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추모 연설에서는 희생의 규모를 상기시키고 공중보건 지침 준수와 백신 접종 등 협력을 통해 대유행 국면을 전환할 미국인의 역량을 강조했습니다. 또 모든 연방기관에 조기를 게양하도록 지시했습니다. '미국 내 코로나19 사망자 50만명'이라는 '침통한 이정표'를 기리기 위한 겁니다. 조기는 닷새 동안 게양됩니다.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기준 미국의 누적 사망자는 51만2천여 명입니다. 미국의 누적 확진자는 2천800만여 명으로 3천만명에 육박해, 미국은 여전히 세계에서 피해가 가장 큰 국가로 꼽힙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감염병 최고 권위자인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은, 미국이 대부분의 다른 나라보다 코로나19 대응을 더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국은 부자 나라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에 비해 코로나19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입니다. 또, 사태 초기 사망자 수치가 24만명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올 때 "사람들은 이를 과장이라고 생각했다"며 과거 코로나19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앵커]

다른 나라 상황 살펴보겠습니다. 곧 새학기인데, 등교 개학 여부를 두고 고심하는 곳들이 많을 것 같아요.

[기자]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전면 봉쇄를 시행해온 독일에서는, 초등학교와 보육시설이 일제히 개학했습니다. 이런 와중에 눈에 띄는 건, 교사들이 백신 접종 우선순위 대상이 되는 방안이 논의된다는 겁니다. 독일 정부는 "학교와 보육시설 교사들에게 이른 시일 안에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면서 "접종팀을 동원해, 교육 현장에 가 교사에게 접종하는 게 가장 빠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국 잉글랜드에서는 다음 달 학생들의 등교를 시작으로 봉쇄가 단계적으로 풀립니다. 영국 정부는 네 단계에 걸쳐 6월 중순까지 봉쇄를 모두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영국은 하루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1만명이 넘게 나오지만, 3차 봉쇄로 피로감이 쌓이면서 봉쇄를 풀기로 했습니다. 또 백신 접종자가 이미 1천700만명이 넘어선 것도 이런 결정을 할 수 있게 된 배경입니다.


'주말 봉쇄'만 결정한 곳도 있습니다. 프랑스 니스는 2주 동안 주말에만 봉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말 밤에는 통행이 금지되고 주말 낮에는 이동증명서를 소지해야만 외출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두 차례 전국에 봉쇄령을 내린 적이 있지만, 특정 지역에 주말에만 한정해 봉쇄하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영국처럼 하루 신규 확진자가 1만명 넘게 나오고 있는 이탈리아에서는, 장거리 이동 제한 조치가 유지됩니다. 단계적 봉쇄 해제를 결정한 영국과 대조를 이루는데요. 이탈리아 정부는 다른 주로 이동하는 걸 제한하는 조치를 다음 달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바이러스 확산이 꺾이지 않은 데다 변이 바이러스 확산 범위와 속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겁니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일부 국가들의 코로나19 백신 선점을 비판하며 기부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테워드로스 WHO 사무총장은 부유한 국가들의 선점으로 백신 공동 구매·배분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위한 백신 물량이 부족하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모든 곳에서 바이러스를 퇴치하지 못한다면 바이러스는 다시 나타날 수 있다"며 "돈이 있어도 백신을 사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핵 합의' 복귀 협상 개시 조건을 놓고 미국과 이란의 대립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하면서도 핵무기를 만들 수 있다는 여지는 남겼다면서요.

[기자]

이란이 핵무기 미보유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하면서도 우라늄 농축 수준을 60%까지 높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이란은 핵무기 보유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는데, 지난 2003년 밝힌 핵무기 미보유 원칙을 재확인한 겁니다. 다만, 하메네이는 핵무기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우라늄의 농축률을 6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우라늄을 핵무기로 사용하려면 농축률이 9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란은 오바마 전 대통령 재임 당시인 2015년 미국과 핵합의를 타결했습니다. 이란 핵합의는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제재를 푸는 걸 의미합니다. 그러나 2018년 5월 트럼프 행정부가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이란에 대한 제재를 복원하면서 이란 핵합의는 붕괴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란은 핵합의 타결 전 우라늄을 20%까지 농축했지만, 핵합의 타결 이후 3.67%로 낮췄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핵합의 탈퇴 후 농축률을 4.5%까지 올렸습니다. 게다가 이란 의회는 지난달 우라늄 농축 수준을 20%로 상향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란 정부가 한국에 묶인 돈의 이전과 사용과 관련해 한국 정부와 합의를 마쳤습니다. 두 나라 정부는 한국 내 이란 동결 자산을 이란이 원하는 곳으로 옮기는 데 합의했습니다. 한국에서 동결된 이란 자금은 70억 달러, 약 7조6천억원으로 추산됩니다. 2018년 미국 정부가 이란 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린 뒤부터 한국 내 자금 거래가 중단돼 왔습니다.

[앵커]

미국도 여전히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란의 엄격한 핵합의 준수를 재차 강조했죠.

[기자]

미국은 이란 핵문제 해결 의지를 거듭 밝혔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유엔 군축회의에서 이란이 핵합의를 엄격히 준수할 경우 핵합의에 복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은 이란이 핵무기를 절대로 가질 수 없도록 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지난 주말 이란과 국제원자력기구 IAEA 사무총장의 회담도 언급하며 "이란은 IAEA의 핵안전조치협정과 국제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동맹국과 협력하면서 핵합의 강화와 연장을 추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도 북한의 비핵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평양의 대량살상무기와 탄도 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맹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국무장관이 군축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국제무대에서 북한의 비핵화 및 동맹과의 협력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앵커 6]

트럼프 전 행정부는 주요 사안에 대한 국제무대의 논의와 역할에 무게를 두지 않았는데, 이 역시 변화된 모습이군요. 지금까지 글로벌브리핑이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