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혁신도시 이전 기관 직원 40%는 가족과 떨어진 '혁신 기러기'

송고시간2017-09-12 05:0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송기헌 의원 "혁신도시 정착률 높일 특단 대책 필요할 때"


송기헌 의원 "혁신도시 정착률 높일 특단 대책 필요할 때"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혼자 밥 먹기 뭣하니 저녁에 '한총련'이 자연스럽게 소집됩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딱히 뭘 하겠습니까. 한잔 두잔 반주를 나누다 또 술자리가 이어지지요."

이는 직장이 혁신도시로 내려오면서 졸지에 '기러기 아빠'가 된 한 간부의 넋두리다.

한총련은 학생운동 단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도시에 내려와 가족과 떨어져 지내게 되면서 '한시적으로 총각이 된 사람들의 연합'이라는 자조 섞인 말이다.

올해로 혁신도시가 건설된 지 10년이 됐지만 서울 등 수도권에 가족을 남겨두고 혁신도시에 홀로 내려온 단신 이주자, 일명 '혁신 기러기' 비율이 4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나 혁신도시의 저조한 정착률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 혁신도시 이주 공공기관 직원 37.8%는 가족 두고 홀로 이주

12일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혁신도시 이주율 등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으로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된 115개 공공기관 직원 3만3천212명 중 단신 이주자는 1만2천567명(37.8%)으로 집계됐다.

가족과 함께 혁신도시로 이주한 직원은 1만800명으로 전체의 32.5%에 불과했다.

혁신도시로 옮긴 미혼이나 독신자 7천866명(23.7%)까지 합하면 단신 이주를 제외한 '정착률'은 56.2%까지 올라가지만, 가족을 떠나 기러기 생활을 하는 공공기관 직원이 가족과 함께 이주한 이보다 1천700명가량 더 많다.

경남혁신도시는 전체 3천582명 중 1천827명(51.0%)이 가족과 떨어져 지내 단신 이주자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 공공기관 직원의 절반은 혁신도시에 혼자 내려온 혁신 기러기인 셈이다.

그 다음으로 광주·전남(42.5%), 경북(39.6%), 전북(37.1%) 등 순이었다.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충북혁신도시로, 전체 공공기관 직원 2천321명 중 단신 이주는 456명으로 비율이 19.6%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는 혁신도시인 진천과 음성이 수도권과 가까워 출퇴근하는 직원 비율이 절반 수준인 1천113명(47.9%)에 달하기 때문이다.

충북은 가족동반 직원 비율이 15.9%로 단신 이주 직원보다도 낮다.

출퇴근족은 충북혁신도시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수도권과 가까운 강원(원주)은 전체의 9.3%인 417명이 출퇴근을 했고 KTX 경부선을 이용하기 편한 경북(김천)도 361명(8.9%)이 출퇴근을 선택했다. 이보다 훨씬 멀리 떨어진 울산은 30명, 광주·전남은 29명, 대구는 22명, 전북은 7명이 출퇴근을 고수했다.

◇ 금요일 집에 갔다 월요일 아침 복귀 패턴

올 8월 기준으로 115개 혁신도시 이전 기관에다 개별적으로 혁신도시나 세종시 등지에 내려간 39개까지 합한 154개 기관에서 지역 내부나 혁신도시~수도권을 운행하는 통근버스는 총 400대이며 정기적인 이용자는 1만3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요일별 통근버스 운용 대수와 이용 현황(복수 응답)을 살펴보면 금요일 버스 이용이 가장 활발하다.

금요일 통근버스는 362대가 가동되고 9천61명이 이를 이용한다. 그 다음으론 월요일 276대가 운행하고 7천34명이 버스를 탄다.

일요일에는 버스 133대가 운행하고 2천880명이 버스를 타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화·수·목요일 각 버스 171대가 4천700여명을 나르는 것보다 규모가 적다.

보통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직원의 숙소가 기관과 가까워 평소 출퇴근용 버스 이용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혁신도시 단신 이주자들이 금요일에 혁신도시에서 수도권 집으로 갔다가 복귀는 월요일 오전에 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8월 현재 혁신도시 등으로 이전한 154개 기관 직원에게 특별공급된 주택은 총 1만705호로 집계됐다.

이 중 분양주택은 8천747호, 임대주택은 1천958호다.

이중 혁신도시 이전 기관 115개 기관만 보면 1만635호가 특별공급됐다. 혁신도시 이전 대상 직원이 3만3천212명이니 32.0%가 주택 특별공급 혜택을 본 셈이다.

지방자치단체가 201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154개 이전 기관 직원의 주택 구입에 대해 취득·등록세를 감면해 준 건수는 6천904건에 금액은 233억9천만원에 달했다.

혁신도시 등 이전 기관이 직원의 거주를 돕기 위해 보유한 사택(연속 거주)과 숙소(일시 거주)는 각 5천781호(사용자 6천468명)와 1천595호(3천109명)이었다.

송기헌 의원은 "혁신도시 직원들의 이주 지원을 돕는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직원 정착률은 여전히 저조한 상태"라며 "혁신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혁신도시 시즌2'를 추진하려면 무엇보다 이전 기관이 지역사회에 자연스럽게 융화할 수 있도록 정착률을 높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래픽] 혁신도시 이전 기관 직원 40%는 가족과 떨어진 '혁신 기러기'
[그래픽] 혁신도시 이전 기관 직원 40%는 가족과 떨어진 '혁신 기러기'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banana@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