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소비부진 주범 사교육…"학원비 월 500만원, 다른데 쓸 돈 없다"

송고시간2017-01-12 06:16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유통팀 = 좀처럼 내수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가운데, 소비 부진의 근본적 원인의 하나로 학원비 등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이 꼽히고 있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입시 전형 탓에 한 시간에 수십만 원짜리 입시컨설팅을 받고 내신 관리와 수능 고득점을 위해 과목당 수 십만 원, 월 수 백만 원을 자녀 학원비에 쏟아붓고 나면 소비에 쓸 돈이 남지 않기 때문이다.

◇ 한국 가정, 사교육 늘리려 먹고·입고·노는 것 다 줄였다

12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전국 도시 근로자가구(2인 이상)는 한 달 평균 학원·보습교육에 22만6천576원을 지출했다.

1년 전 2015년 3분기(21만4천492원)보다 6% 정도 늘어난 것으로, 증가율이 같은 기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1%)의 6배에 이른다. 아울러 1년간 소비자물가지수 평균 증가율(1%)의 6배이기도 하다.

이처럼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이 소득 증가에 비해 월등히 빨리 늘면서, 처분가능소득 가운데 학원·보습 교육비 등 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도 5.4%에서 5.7%로 높아졌다.

소득 증감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늘거나 줄지 않는 우리나라 사교육비 추세는 다른 주요 소비품목과의 비교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사교육비 지출이 6% 늘어나는 동안, 식료품·비주류음료(-4%), 주류·담배(-1%), 보건(-8%), 통신(-3%), 오락·문화(-1%) 등의 소비는 오히려 일제히 줄었다.

결국, 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경기가 침체한 상황에서 가계가 먹는 것, 입는 것, 휴대전화 요금, 술·담배, 유흥 등 다른 소비품목에서는 모두 허리띠를 졸라매면서도, 자녀나 가족의 입시·취업을 위한 사교육비 씀씀이는 더 늘렸다는 얘기다.

이는 거꾸로 말해, 사교육비 지출분을 사수하기 위해 쇼핑·술·담배를 자제하고, 전화를 덜 걸고, 영화를 덜 봤다는 말과도 같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교육비는 식비, 주거비 다음으로 가계 지출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며 "저소득층도 자식들을 교육하려는 욕구가 있기 때문에 부담이 되더라도 학원비 지출을 줄이기 힘든 상태에서 학원비 부담이 늘면 체감 물가 상승 폭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부진 주범 사교육…"학원비 월 500만원, 다른데 쓸 돈 없다" - 1

◇ 저-고 소비층 사교육비 14배 차…"월급 모두 학원비로…생활비는 대출"

한 달 22만7천 원 수준이라는 사교육비 지출 규모도 평균 통계의 '함정'일 뿐, 실제로 소득·소비 수준에 따라 각 가정에서는 훨씬 더 많은 사교육비(학원·보습 교육비)를 쓰고 있었다.

월 소비 100만~200만 원 사이 가정의 사교육비 월 지출액은 작년 3분기 기준으로 4만5천 원 정도였지만, 소비가 400만 원을 넘는 가정의 사교육비 지출액은 14배인 61만8천 원에 이르렀다.

처분가능소득 중 사교육비 비중도 소비 100만~200만 원 가정에서는 1.6%에 불과한 데 비해, 소비가 400만 원을 넘는 가계에서는 10%까지 치솟았다.

저소득·소비층에서는 아예 사교육을 엄두도 내지 못하는 반면 중산층 이상은 처분가능소득의 10%를 사교육에 쏟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뚜렷하다는 뜻으로, 결국 소득에 따른 교육 기회 불평등과 그 결과로 사회적 지위와 빈부의 세습이 우려된다.

더구나 연합뉴스의 취재 과정에서 실제로 확인된 대도시 가정의 실제 사교육비 지출 규모는 훨씬 더 컸다.

서울 청담동에 사는 주부 김 모(46) 씨는 "고등학교 3학년이 되는 아이의 학원비로 이달 국어 30만 원, 수학 50만 원, 사회탐구 60만 원, 영어 100만 원에 교재비까지 330만~340만 원이 들어갔다"며 "다른 자녀 학원비까지 합하면 한 달에 400만~500만 원이 학원비로 나가는 셈으로, 거의 소득의 대부분을 학원에 쏟아붓고 있다"고 한숨을 쉬었다.

월수입이 500만 원을 조금 넘는다는 회사원 이 모(50) 씨도 고등학교 3학년생인 딸과 2학년생인 아들의 사교육비로 한 달에 500만 원을 쓰고 있었다. 이외 생활비 100만 원 정도를 매달 은행으로부터 대출까지 받는 실정이다.

이 씨는 "다른 집 애들은 다 학원에 다니는데 우리 아이들만 안 보내면 불안하니까 빚을 내서라도 학원에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shk99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